이게 얼마나 개같은 정책인지 말씀드립니다.
기존 완성차 업체에 정품으로 납품하는 부품사들 있죠?
이 부품사들이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요즘 대기업이 재고를 떠안으려하지 않으려고
주문이 들어온 만큼 부품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이에 협력업체나 부품업체들은 생산기간과 그 납기일을 맞추려고, 오히려 재고를 협력업체들이 떠안고 있습니다.
그리고 생산하는 장비나 금형, 인력 등 다 협력업체의 부담으로 가고 있습니다.
특히, 그 OEM 품질인증 부품이라고 이거 엄청 꼼수입니다.
정상적으로 납품하던 업체 물품 주문을 줄이고,
다른업체에 생산하도록 해서 다른 업체로 주문을 돌리기도 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 이거 있어봐야 헛거입니다.
여기 다 대기업편이에요.
저따위 OEM 생산 품질인증 부품? 정상으로 개발한 업체들 다 죽이는 행위입니다.
그걸 법으로 보험으로 뒤로 돌려서 강소기업, 중소기업 죽이고 있는거에요.
이번 저 자동차 품질인증부품 수리 내용은 다방면으로 살펴봐야합니다.
금융감독원도 보험사 사기 안당하게 바꿔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보험사가 OEM으로 수리해서 생기는 일,
연계로 인한 고장이나
보험효가 얼마나 줄어들지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있나요?
연3%인하를 기대한다는 내용도 언뜻 들리는데, 물가인상률 따지면 뭔 인하가 될까요? 어차피 사고 안나면 자동으로 감가들어가는데 말이죠.
이거 공공기관이 대놓고 국민들판테 사기치는 겁니다.
저 제도를 도입하면 이득볼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사람들이 공범입니다.
안그래도 금형업체들 억울하게 자살하는 사장님들 많습니다.
게다가 그 위험은 국민들이 떠안구요.
자동차 제조사들이 OEM부품 사용에 대한 하자수리,
보증했나요?? 이런 것도 같이 살펴봐야하는데,
보험사만을 위한, OEM부품 생산업체를 위한 법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부품 개발하는 사장님들은 호구되는거에요.
운전면허부터 어렵게 따도록 바꿔서 사고 자체를 줄여야죠.
그러면 사고도 줄어들것이구요. 부상자도 줄어들구요. 수리하는 일도 줄어들구요.
금감원이 뭔 개 같은 정책을 허용해주는지
너무하다 생각합니다.
자동차 커뮤니티인 만큼 많은 관심과 정부에 민원 넣어주세요.
정부24 들어가셔서 정책에 대한 민원 넣어주세요.
더러는 열심히 하는 분도 있지만,
3년이라는 짧은 기간동안 복제품이 팔리고 있단느걸 알기도 쉽지읺을 뿐더러, 복제품에 대한 피해사실을 알기가 어려운 기간입니다.
법의 사각지대를 이용한 행태가 수면위로 드러나고 있다 생각합니다.
마치 윤석열이 비상계엄을 한 것처럼
중소기업들을 발주을 줄여서 경영난에 허덕이게 하고, 특허도 빼앗아가고, 이따위 짓거리를 해온 것을 공적으로 허가해주는 거나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전자제품은 워낙에 호불호가 갈리는 거라 의견수렴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차량 사고는 매년 일어나는 것이고,
중고차는 어떤 차든지 중고가 되기는 마찬가지니까요.
아무쪼록 관심을 갖고,정부24에서 민원을 넣어주세요. 이메일이나 서면 요청해주세요. 말로는 안된다고~!
다방면으로 확인해야지 한쪽만 생각하냐,
1.중소기업청, 중소기업모임이 있가면 그 모임에 공식적 답변이 오간게 있는지, 있다면 그 답변 공개,
2.공정거래위원회의 공식답변은 무었이었나
답변이 있다면 공개.
3.소비자보호원의 공식적 답변
4. 보험사들의 보험료인하에 대한 공식금액 발표. 기대한다. 고작3%이런거는 농간이다.
5. 많은 분들이 각자 개인이 알고 있는 수단이라면 뭐든 민원을 넣고 공식답변을 서면 요청
많은 분들의 관심이 우리의 안전을 챙길 수 있습니다.
좋은 글 고맙습니다
완성차에 납품하기 위해
국내 업체들과 경쟁해서 납품하던 것을
이제 국내 뿐 아니라 외국 부품 업체에
주문 할 수 있게 바꾼다는 내용 인가요?
문제는 사고차량에 대해서 정품 부품을 사용하면 보험사에서 수리비가 많이 나오니까, '품질인증부품'이라고, OEM생산 방식으로 같은 성능을 인증 받은 저가의 부품을 보험으로 사고 수리 시 사용하라는 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정품사용을 지양하는 것이죠.
그동안 중고부품으로 교체하면 일부 현금으로 돌려주기도 했었습니다.
국내는 정품도 하자가 있어도 리콜을 엄청 늦게하지요. 5~8년 지나야 리콜을 발표합니다.
아무튼, 자동차 제조사에서 그 부품으로 안한 연계 고장 시, 보증수리를 발표한것도 아닙니다. 그 연계 고장이라는 것도 소비자가 밝혀야 할 건 뻔하구요.
아무튼, 보험사의 재정상태 하나만 봐서 이따위 정책을 실시하는 것은 문제가 매우 커집니다.
책임 없는 위험을 국민이 떠안게 되는겁니다.
미친 정책이죠.
OEM
전자제품은? 각종 산업에도 떳떳하게 쓰여질겁니다.
안그래도 각종 장비들, 부품들 외국에서 싼 부품 수입이 많이 되고 있어요.
국내 기업들의 생태를 위협하고, 국민의 안전은 무시하고, 각종 책임회피를 하려고 제도를 허술하게 도입하는 국가기관장은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할 것입니다.
이게 과연.. 될까 생각뿐..ㅠ
2. OEM생산부품으로 인한 사고나 고장, 그 2차,3차 피해에 대해 책임은 누가지나?
3. OEM생산부품으로 인한 고장과 그 연계피해를 소비자가 밝혀야하나??
4. OEM생산부품은 정품생산업체에 피해는 없는가?
5. 보험사들이 보험수가 인하가 있을거라 했는데 그것은 기대일뿐, 정확히 얼마로 인하하겠다는 보험가입 연수별 발표가 있었나? 발표허지도ㅠ않고, 기대한다고만 하고, 제도를 시행부터 하는게 어디에 있나?
6. 자동차 사고 발생은 미숙한 운전자들의 양성에 있다. 이명박 운전면허 이전,이후 통계자료에 대해서 정확히, 유형별로 따져보면 알 수 있다. 허술한 운전면허 발급, 퀵보드 보급 등 사고유형이 많다.
이러한 제도들은 손보지 않고, 안전에 위험을 끼치는 부품으로 교체하라는 것은 소비자게 목숨 걸고, 위험을 떠안으라는 것이다.
분석한 자료에 대해서 국민들이 쉽게 찾아 볼 수 있게 공개해라.
뭐 이런식으로 민원을 촘촘하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러한 자료 공개도 없이 법부터 바꾼다니...
이건 금감원이 그런건 우리분야 아냐~ 몰라 이럴게 뻔해보입니다.
0/2000자